소방시설의 구조 및 원리 2012년 1회차 문제 및 풀이
61. 지하상가 및 지하역사의 경우 휴대용비상조명등의 설치기준으로 알맞은 것은?
① 수평거리 25m 이내마다 5개 이상 설치
② 수평거리 50m 이내마다 5개 이상 설치
③ 수평거리 25m 이내마다 3개 이상 설치
④ 수평거리 50m 이내마다 3개 이상 설치
휴대용 비상조명의 설치기준
- 숙박시설, 다중이용업소에 1개이상 설치
- 백화점, 대형점, 쇼핑센터, 영화상영관 : 보행거리 50[m] 이내마다 3개이상 설치
- 지하상가, 지하역사 : 보행거리 25[m] 이내마다 3개 이상 설치
- 배터리 용량 : 20분 이상
답 ③
62. 누전경보기에서 감도조정장치의 조정범위는 최대 몇 [mA] 인가?
① 1[mA] ② 20[mA]
③ 1000[mA] ④ 1500[mA]
- 공칭작동전류치 : 200[mA]
- 감도조정장치의 조정범위 : 1[A] 이하
답 ③
63. 통로의 직성부분의 길이가 30m인 극장 통로바닥에 설치하여야하는 객석유도등의 설치개수는?
① 3개 ② 4개
③ 7개 ④ 17개
답 ③
64. 비상방송설비에서 기동장치에 따른 화재신고를 수신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화재발생 상황 및 피난에 유효한 방송이 자동으로 개시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몇 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?
① 5초 이하 ② 10초 이하
③ 20초 이하 ④ 30초 이하
◼비상방송설비
* 음향장치의 설치기준
①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3[W] (실내에 설치하는 것 1[W]) 이상일 것
② 확성기는 각층마다 설치하되,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가 25[m] 이하가 되도록 할 것
③ 음향조정기의 배선 : 3선식
④ 기동장치에 의한 화재신고를 수반한 후 필요한 음량으로 방송이 개시 될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10초 이하로 할 것
답 ②
65. 피난기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축광식 위치표지의 표지면의 휘도는 주위 조도0[lx]에서 60분간 발광 후 몇 [mcd/m2]로 하여야 하는가?
① 5[mcd/m2] ② 7[mcd/m2]
③ 24[mcd/m2] ④ 60[mcd/m2]
* 유도표지
유도표지의 표지면의 휘도는 주위조도 0[lx]에서 60분간 발광후 7[mcd/m2]이상으로 할 것
답 ②
66. 다음 ( )안에 들어갈 용어로 알맞은 것은?
① ㉠ 적색표시, ㉡ 음향신호
② ㉠ 황색표시, ㉡ 음향신호
③ ㉠ 적색표시, ㉡ 시각장치신호
④ ㉠ 황색표시, ㉡ 시각장치신호
답 ③
67. 천장 높이가 5m인 경우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의 설치 높이로 알맞은 것은?
① 바닥으로부터 0.3m 이상 0.8m 이하의 장소
② 바닥으로부터 0.8m 이상 1.2m 이하의 장소
③ 바닥으로부터 2.0m 이상 2.5m 이하의 장소
④ 천장으로부터 0.15m 이내의 장소
*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
: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2[m] 이상 2.5[m] 이하
(천장높이가 2[m] 이하인 경우에는 천장으로부터 0.15[m] 이내의 장소에 설치)
답 ④
68.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 설정에 있어서 지하구의 경우 하나의 경계구역의 길이는 몇 [m]이하로 하여야 하는가?
① 300m ② 500m
③ 700m ④ 1000m
경계구역
①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
②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
(다만 500 이하의 범위안에서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수 있다)
③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 이하로하고, 한변의 길이는 50m 이하로 할 것
④ 지하구에 있어서 하나의 경계구역 길이는 700m 이하로 할 것
⑤ 계단, 경사로, 엘리베이터 권상기실 - 하나의 경계구역은 높이 45m 이하로 할 것
답 ③
69. 비상콘센트설비의 경계구역 설정에 있어서 지하구의 경우 하나의 경계구역의 길이는 몇 [m]이하로 하여야 하는가?
① 2개 이하 ② 3개 이하
③ 10개 이하 ④ 100개 이하
-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는 10개 이하로 할 것
답 ③
70. 무선통신보조설비에는 2개 이상의 입력신호를 원하는 비율로 조합한 출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는?
① 분배기 ② 동조기
③ 복합기 ④ 혼합기
용어의 정의
-누설동축케이블 : 동축케이블의 외부도체에 가는 홈을 만들어서 전파가 외부로 새어나갈 수 있도록 한 케이블
- 분배기 : 신호 균등 분배를 위해 사용하는 장치
- 분파기 : 서로 다른 주파수의 합성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장치
- 혼합기 : 두 개 이상의 입력신호를 원하는 비율로 조합한 출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
- 증폭기 : 신호가 약해져서 수신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호를 증폭하는 장치
답 ④
71. 감지구역의 바닥면적이 5m2의 소방대상물에 열전대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를 설치하는 경우 열전대부는 몇 개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?
① 1개 ② 3개
③ 4개 ④ 10개
* 열전대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의 설치기준
① 열전대식감지기의 면적기준
특정소방대상물 |
1개의 감지면적 |
내화구조 |
22[m2] |
기타구조 |
18[m2] |
단, 바닥면적이 72[m2] (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일 경우 88[ ]) 이하인 특정소방대상물에 있어서는 4개 이상으로 할 것.
답 ③
72. 가스누설경보기의 분리형수신부의 기능에서 수신개시로 부터 가스누설표시까지의 소요시간은 몇 초 이내이어야 하는가?
① 5초 ② 10초
③ 30초 ④ 60초
* 수신개시 후 소요시간
기기 |
소요시간 |
PR형 수신기 |
5초 이내(축적형 60초이내) |
중계기 |
5초 이내 |
비상방송설비 |
10초 이내 |
M형 수신기 |
20초 이내 |
가스누설경보기 |
60초 이내 |
답 ④
73.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무선기기 접속단자 중 지상에 설치하는 접속단자는 보행거리 몇 [m]이내마다 설치하여야 하는가?
① 5m ② 50m
③ 150m ④ 300m
보행거리
보행거리 15[m] 이하 : 유도표지
보행거리 20[m] 이하 : 복도통로유도등, 거실통로유도등, 3종연기감지기
보행거리 30[m] 이하 : 1,2종연기 감지기
보행거리 300[m] 이하 : 무선기기 접속단자
답 ④
74.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인 것은?
① 길이 500m 이상의 터널
② 연면적 400제곱미터 이상의 노유자시설로서 수용인원이 100인 이상인 것
③ 공장으로서 지정수량의 100배 이상의 특수가연물을 저장, 취급하는 것
④ 공장 및 창고 시설로서 연면적이 500제곱미터 이상인 것
답 ②
75.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의 형식별 특성에서 주위의 온도 또는 연기의 양의 변화에 따라 각각 다른 전류치 또는 전압치 등의 출력을 발하는 방식의 감지기는?
① 디지탈식 ② 아날로그식
③ 다신호식 ④ 분산신호식
① 근린생활시설(일반목욕탕 제외)·위락시설·숙발시설·의료시설·장례식장 및 복합건축물로서 연면적 600 m2이상인곳
② 공동주택, 목욕탕, 문화-집회시설, 판매시설, 운동시설, 공장 창고시설, 발전시설, 관광휴게실
- 연면적 1000 m2이상인 곳
③ 교육연구시설, 교정 및 연구시설 - 2000 m2이상인 곳
④ 지하구
⑤ 길이 1000m 이하의 터널
⑥ 노유자 생활시설
⑦ ⑥(노유자 생활시설)에 해당하지 않는 노유자시설로서 연면적 400 m2이상인 노유자시설 및 숙박시설이 있는 수련시설로서 수용인원 100명 이상인 곳
⑧ 수량의 500배 이상의 특수가연물을 저장·취급하는 곳
답 ②
76.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 구조에서 정격전압이 몇 [V]를 넘는 기구의 금속제 외함에는 접지단자를 설치하여야 하는가?
① 30[V] ② 60[V]
③ 100[V] ④ 300[V]
수신기
- 정격전압이 60[V] 넘는 기구의 금속제 외함에는 접지단자를 설치할 것
- 예비전원회로에는 단락사고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퓨즈를 설치할 것
- 내부에 주전원의 양극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는 전원스위치를 설치할 것
- 수신기의 외부 배선 연결용 단자에 있어서 공동 신호선용 단자는 7개회로마다 1개 이상 설치할 것
답 ②
77. 비상조명등은 비상점등을 위하여 비상전원으로 전환되는 경우 비상점등 회로로 정격전류의 1.2배 이상의 전류가 흐르거나 램프가 없는 경우에는 비상점등 회로의 보호를 위하여 몇 초 이내에 예비전원으로부터 비상전원 공급을 차단하여야 하는가?
① 1초 ② 3초
③ 30초 ④ 60초
비상점등 회로의 보호를 위한 예비전원으로부터 비상전원 공급 차단시간: 3초
답 ②
78.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에 대한 전압과 공급용량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?
① 3상교류:380V 3kVA 이상, 단상교류:110V 1.5kVA 이상
② 3상교류:380V 3kVA 이상, 단상교류:220V 1.5kVA 이상
③ 3상교류:220V 3kVA 이상, 단상교류:220V 1.5kVA 이상
④ 3상교류:220V 3kVA 이상, 단상교류:110V 1.5kVA 이상
구분 |
전압 |
용량 |
3상교류 |
200, 380[V] |
3[kVA] 이상 |
단상교류 |
100, 220[V] |
1.5[kVA] 이상 |
답 ②
79. 측광방식의 피난유도선의 피난유도 표시부는 바닥 면에 설치하지 않는 경우 바닥으로부터 높이 몇 [cm]이하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는가?
① 100cm 이하 ② 80cm 이하
③ 50cm 이하 ④ 30cm 이하
답 ③
80. 공기관식 차동식분포형 감지기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는 것은?
① 공기관의 노출부분은 감지구역마다 20m 이상이 되도록 할 것
② 하나의 검출부분에 접속하는 공기관의 길이는 200m 이하로 할 것
③ 검출부는 5°이상 경사되지 아니하도록 부착할 것
④ 검출부는 바닥으로부터 0.8m 이상 1.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
하나의 검출부분에 접속하는 공기관의 길이는 100[m] 이하로 할 것
답 ②
'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> 소방시설의 구조 및 원리 출제문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방설비의 구조 및 원리 2013년 3회차 문제 및 풀이 (0) | 2019.01.30 |
---|---|
소방설비의 구조 및 원리 2013년 2회차 문제 및 풀이 (0) | 2019.01.28 |
소방설비의 구조 및 원리 2013년 1회차 문제 및 풀이 (0) | 2019.01.24 |
소방시설의 구조 및 원리 2012년 3회차 문제 및 풀이 (0) | 2019.01.23 |
소방시설의 구조 및 원리 2012년 2회차 문제 및 풀이 (0) | 2019.01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