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방설비의 구조 및 원리 2014년 3회차 문제 및 풀이
61.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음향장치는 층수가 5층인 소방대상물로서 연면적이 3000m2를 초과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 있어서 지하층에서 발화한 경우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 층은?
① 발화층ㆍ그 직상층 및 기타의 지하층
② 발화층 및 최상층
③ 발화층 및 그 직상층
④ 발화층ㆍ그 직상층 및 최상층
* 음향장치의 설치기준
-주음향 장치를 수신부의 내부 또는 직근에 설치할 것
-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이 3000[
]초과하는 특정소방대상물
발화층 |
경보를 발하여 하는 층 |
2층 이상 |
발화층, 그 직상층 |
1층 |
발화층, 그 직상층, 지하층 |
지하층 |
발화층, 그 직상층, 기타의 지하층 |
답 ①
62.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를 설명한 것이다.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“경계구역”이란 소방대상물 중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 및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을 말한다.
② “중계기”란 감지기ㆍ발신기 또는 전기적접점 등의 작동에 따른 신호를 받아 이를 수신기의 제어반에 전송하는 장치를 말한다.
③ “감지기”란 화재 시 발생하는 열, 연기, 불꽃 또는 연소생성물을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수신기에 발신하는 장치를 말한다.
④ “시각경보장치”란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발하는 화재신호를 시각경보기에 전달하여 시각장애인에게 경보를 하는 것을 말한다.
“시각경보장치”란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발하는 화재신호를 시각경보기에 전달하여 시각(x)→청각장애인에게 경보를 하는 것을 말한다.
|
답 ④
63. 비상콘센트설비 설치 시 자가발전기설비 또는 비상전원수전설비를 비상전원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것은?
① 지하층을 포함한 층수가 7층인 특정소방대상물
②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m2인 특정소방대상물
③ 지하층의 층수가 3층인 특정소방대상물
④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5층으로 연면적이 1000m2인 특정소방대상물
*자가발전설비 또는 비상전원수전설비로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
-지하층을 제외한 7층 이상으로 연면적 2000[
-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[
(차고, 주차장, 보일러실, 기계실, 전기실의 바닥면적은 제외)
|
답 ②
64. 발신기의 구조 및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P형 1급 발신기는 P형 1급 수신기에 접속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응답확인램프, 전화장치(전화잭), 스위치, 보호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.
② P형 2급 발신기는 P형 1급 발신기의 구조와 거의 비슷하나 P형 2급 수신기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것이다.
③ T형 발신기는 수동으로 각 발신기의 공통신호를 수신기에 발신하는 것으로 발신과 동시에 통화가 가능하며 송수화기를 든 경우에는 화재신호를 보낼 수 있어야 한다.
④ M형 발신기는 자동으로 각 발신기의 고유신호를 P형 1급 수신기에 발신하는 것으로 방수형으로 되어 있고 하나의 배선에 의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.
발신기의 구조 및 기능
- 발신기 외함의 노출부색은 적색으로 한다.
- M형 발신기는 고유의 신호를 발신하며, 동일한 고유의 신호를 2회 이상 송신한다.
|
답 ④
65. 특정소방대상물에서 비상경보설비의 설치 면제 기준으로 옳은 것은?
① 물분무소화설비 또는 미분무소화설비를 화재아전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한 경우
② 음향을 발하는 장치를 부설한 방송설비를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한 경우
③ 단독경보형 감지기를 2개 이상의 단독경보형 감지기와 연동하여 설치하는 경우
④ 피난구유도등 또는 통로유도등을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한 경우
답 ③
66.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공연장ㆍ집회장ㆍ관람장의 경우 시선이 집중되는 무대부 부분 등에 설치할 것
② 복도ㆍ통로ㆍ청각장애인용 객실 및 공용으로 사용하는 거실에 설치하며, 각 부분으로부터 유효하게 경보를 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할 것
③ 시각경보장치의 광원은 상용전원에 의하여 점등되도록 할 것
④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2m 이상 2.5m 이하의 장소에 설치할 것
*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
: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2[m] 이상 2.5[m] 이하
(천장높이가 2[m] 이하인 경우에는 천장으로부터 0.15[m] 이내의 장소에 설치)
-시각경보장치의 광원은 전용의 축전지설비를 할 것
|
답 ③
67. 열반도체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의 설치개수를 결정하는 기준 바닥면적으로 적합한 것은?
① 부착높이가 8 m 미만인 장소로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된 소방대상물인 경우 감지기 1종은 40m2, 2종은 23m2이다.
② 부착높이가 8 m 미만인 장소로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된 소방대상물인 경우 감지기 1종은 30m2, 2종은 23m2이다.
③ 부착높이가 8 m 이상 15m 미만인 장소로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된 소방대상물인 경우 감지기 1종은 50m2, 2종은 36m2이다.
④ 부착높이가 8 m 이상 15m미만인 장소로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가 아닌 소방대상물인 경우 감지기 1종은 40m2, 2종은 18m2이다.
특정소방대상물에 따른 감지기의 종류
부착높이 및
특정소방대상물의 구분
|
감지기의 종류 |
||
1종 |
2종 |
||
8[m] 미만 |
내화구조 |
65 |
36 |
기타구조 |
40 |
23 |
|
8[m] 이상
15[m] 미만
|
내화구조 |
50 |
36 |
기타구조 |
30 |
23 |
답 ③
68. 자동화재속보설비 속보기의 표시사항이 아닌 것은?
① 품명 및 제품승인번호
② 제조자의 상호ㆍ주소ㆍ전화번호
③ 주전원의 정격전류용량
④ 예비전원의 종류ㆍ정격전류용량ㆍ정격전압
답 ③
69. 복도통로유도등의 설치기준으로 틀린 것은?
① 구부러진 모퉁이 및 보행거리 20m 마다 설치할 것
② 바닥으로부터 높이 1.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
③ 지하역사 및 지하상가인 경우에는 복도ㆍ통로 중앙부분의 바닥에 설치할 것
④ 바닥에 설치하는 통로유도등은 하중에 따라 파괴되지 아니하는 강도의 것으로 할 것
유도등의 설치높이
피난구유도등
|
1.5 [m] 이상 |
거실통로유도등 | |
유도표시 |
1.5 [m] 이하 |
복도통로유도등 |
1.0 [m] 이하 |
답 ②
70. 자동화재탐지설비 수신기의 각 회로별 종단에 설치되는 감지기에 접속되는 배선의 전압은 감지기 정격전압의 몇 % 이상이어야 하는가?
① 50 ② 60
③ 70 ④ 80
* 수신기에 내장하는 음향장치
- 사용전압의 80[%]인 전압에서 소리를 내어야 할 것
- 음향장치의 중심으로부터 1[m] 떨어진 지점에서 주음향 장치용의 것은 90[dB]이상일 것.
(다만 전화용부저 및 고장표시장치용 등의 음압은 60[dB] 이상일 것)
|
답 ④
71. 다음 ( )안의 알맞은 내용으로 옳은 것은?
① ㉮ 1, ㉯ 1 ② ㉮ 1, ㉯ 2
③ ㉮ 2, ㉯ 1 ④ ㉮ 2, ㉯ 2
답 ③
72. 객석유도등의 설치개수를 산출하는 공식으로 옳은 것은?
①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C3B4435C5BE43C01)
②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25A54D5C5BE43D01)
③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7B6F395C5BE43D24)
④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99E547345C5BE43E1B)
답 ②
73. 3선식 배선으로 상시 충전되는 유도등의 전기회로에 점멸기를 설치하는 경우 점등되어야 하는 조건으로 틀린 것은?
① 옥외소화전설비의 펌프가 작동되는 때
②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되는 때
③ 방재업무를 통제하는 곳에서 수동으로 점등하는 때
④ 상용전원이 정전되거나 전원선이 단선되는 때
3선식 배선시 점등되어야 하는 경우
-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되는 경우
- 비상경보설비의 발신기가 작동되는 경우
- 상용젖원이 정전되거나 전원선이 단선되너ᅟᅳᆫ 경우
- 방재업무를 통제하는 곳 또는 전기실의 배전반에서
수동으로 점등하는 경우
- 자동소화설비가 작동되는 경우
|
답 ①
74. 감지기 중 주위의 온도 또는 연기 양의 변화에 따라 각각 다른 전류치 또는 전압치 등의 출력을 발하는 방식은?
① 다신호식 ② 아날로그식
③ 2신호식 ④ 디지털식
-아날로그식
주위의 온도 또는 연기의 양의 변화에 따라 각각 다른 전류치 또는 전압치 등의 출력을 발하는 방식의 감지기
-다신호식
1개의 감지기 내에 서로 다른 종별 또는 감도 등의 기능을 갖춘 것으로서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다른 2개 이상의 화재신호를 발하는 감지기
|
답 ②
75. 누전경보기의 주요 구성요소로 옳은 것은?
① 변류기, 감지기, 수신기, 차단기
② 수신기. 음향장치, 변류기, 차단기
③ 발신기, 변류기, 수신기, 음향장치
④ 수신기, 감지기, 증폭기, 음향장치
*누전경보기의 구성요소
변류기, 수신기, 차단기, 음향장치
|
답 ②
76. 누전경보기 수신부의 설치로 적당한 곳은?
① 옥내에 점검이 편리한 건조한 장소
② 부식성이 증기 등이 다량 체류하는 장소
③ 습도가 높은 장소
④ 온도의 변화가 급격한 장소
*누전경보기 설치제외 장소
① 온도의 변화가 심한 장소
② 습도가 높은 장소
③ 화학류 제조, 저장, 취급하는 장소
④ 대전류회로, 고주파발생회 등의 영향 우려 장소
⑤ 가연성의 먼지, 가스 등 또는 부식성 가스 등이 다량 체류하는 장소
|
답 ①
77. 비상콘센트설비에서 사용 되는 용어의 정의 중 “특별고압”이라 함은?
① 직류 750V 이하, 교류 600V 이하인 것
② 교류 600V를 넘고 10000V 이하인 것
③ 7000V를 초과하는 것
④ 10000V를 초과하는 것
저압 |
고압 |
특고압 |
|
직류 |
750[V]이하 |
750[V]초과 7000[V]이하
|
7000[V] 초과 |
교류 |
600[V[이하 |
600[V]초과 7000[V]이하
|
답 ③
78. 화재발생 상황을 경종으로 경보하는 설비는?
① 비상벨설비 ② 자동식사이렌설비
③ 비상방송설비 ④ 자동화재속보설비
답 ①
79. 휴대용 비상조명등의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몇 m 이상 몇 m 이하인가?
① 0.5 m 이상 1.0 m 이하
② 0.8 m 이상 1.5 m 이하
③ 0.8 m 이상 2.0 m 이하
④ 1.0 m 이상 2.5 m 이하
* 휴대용 비상조명의 설치기준
|
답 ②
80. 누전경보기에서 옥내형과 옥외형의 차이점은?
① 증폭기 설치장소 ② 정전압회로
③ 방수구조 ④ 변류기의 절연저항
답 ③
'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> 소방시설의 구조 및 원리 출제문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방설비의 구조 및 원리 2015년 2회차 문제 및 풀이 (0) | 2019.02.13 |
---|---|
소방설비의 구조 및 원리 2015년 1회차 문제 및 풀이 (0) | 2019.02.11 |
소방설비의 구조 및 원리 2014년 2회차 문제 및 풀이 (0) | 2019.02.07 |
소방설비의 구조 및 원리 2014년 1회차 문제 및 풀이 (0) | 2019.02.01 |
소방설비의 구조 및 원리 2013년 3회차 문제 및 풀이 (0) | 2019.01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