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송전선로의 중성점을 접지하는 목적과 관계없는 것은?
① 이상전압 발생의 억제
② 과도 안정도의 증진
③ 송전용량의 증가
④ 보호계전기의 신속, 확실한 동작
중정섬 접지의 목적
-1선 지락 시 거전상의 전위상승을 억제하여 선로 및 기기의 절연레벌을 낮춘다.
-과도 안정도가 증진, 보호 계전기의 동작확실(고속차단)
-지락아크를 소멸하고 이상전압을 방지한다.
답 ③
2. 송전선로의 중성점을 접지하는 주된 목적은?
① 동량의 절약
② 송전용량의 증가
③ 전압 강하의 감소
④ 이상 전압의 억제
답 ④
3. 송전계통의 중성점을 직접 접지하는 목적과 관계없는 것은?
① 고장 전류의 크기 억제
② 이상전압의 발생의 방지
③ 보호계전기의 신속 정확한 동작
④ 전선로 및 기기의 절연 레벨의 감소
답 ①
4. 송전선의 중성점 접지하는 이유가 되지 못하는 것은?
① 코로나 방지
② 지락전류의 감소
③ 이상 전압의 방지
④ 지락 사고선의 선택차단
코로나는 전선로 주변의 전위경도가 상승함에 따라 공기의 부분적인 절연파괴 현상으로 복도체(다도체)가 주 대책이며 중성점 접지와는 관계가 없다.
답 ①
5. 비접지식 송전로에 있어서 1선 지락고장이 생겼을 경우 지락점에 흐르는 전류는?
① 직류
② 고장상의 영상전압보다 90도 늦은 전류
③ 고장상의 영상전압보다 90도 빠른 전류
④ 고장상의 영상전압과 동상인 전류
콘덴서에 의한 진상전류가 흐른다
답 ③
6. 중성점 비접지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적당한 것은?
① 고전압 장거리 ② 고전압 단거리
③ 저전압 장거리 ④ 저전압 단거리
비접지 방식 (△결선)→3300V, 6600V에만 사용
20~30[kV]정도의 저전압 단거링에 사용
답 ④
7. 비접지 방식을 직접 접지방식과 비교한 것 중 옳지 않는 것은?
① 전자 유도장해가 경감된다.
② 지락전류가 작다.
③ 보호계전기의 동작이 확실하다.
④ △결선을 하여 영상 전류를 흘릴 수 있다.
답 ③
8. 비접지 방식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?
① 보호 계전기의 동작이 확실하다.
② 고전압 송전방식으로 주로 채택하고 있다.
③ 장거리 송저네 적합하다.
④ V-V결선이 가능하다.
답 ④
9. △결선의 3상 3선식 배전선로가 있다. 1선 지락이 발생한 경우 건전상의 전위 상승은 지락전의 몇 배인가?
답 ①
10. 6.6[kV], 60[Hz] 3상 3선식 비접지식에서 선로의 길이가 10[km]이고 1선의 대지 정전용량이 0.005[μF/km]일 때 1선 지락시의 고장전류 Ig[A]의 범위로 옳은 것은?
답 ①
11. 송전계통에서 지락보호계전기의 동작이 가장 확실한 접지 방식은?
① 비접지 ② 고저항 접지
③ 직접 접지 ④ 소호리액터 접지
답 ③
12. 송전계통에서 1선 지락 고장 시 인접 통신선의 유도 장해가 가장 큰 중성점 접지방식은?
① 비접지 ② 고저항 접지 ③ 직접 접지 ④ 소호리액터 접지
답 ③
13. 중성점 접지방식에서 직접 접지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① 보호계전기의 동작이 확실하여 신뢰도가 높다.
② 변압기의 저감절연이 가능하다.
③ 과도 안정도가 대단히 높다.
④ 단선 고장 시의 이상전압이 최저이다.
직접접지
-지락사고시, 전압상승X
지락전류는 최대 =통신선유도장해가 가장크다
-절연레벌을 낮출수 있다.
→‘초고압송전’ 사용
- 계전기 동작이 활식
- 과도안정도가 나쁘다.
답 ③
14. 중성점 직접 접지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?
① 1선 지락시 건전상의 전압은 거의 상승하지 않는다.
② 중성점 전압은 항상 0이므로 변압기 가격이 저렴하다.
③ 다른 접지방식에 비해 개폐 이상 전압이 적다.
④ 1선 지락전류가 가장적어 차단기가 처리해야 할 전류가 적다.
직접접지
-지락사고시, 전압상승X
지락전류는 최대 =통신선유도장해가 가장크다
-절연레벌을 낮출수 있다.
→‘초고압송전’ 사용
- 계전기 동작이 활식
- 과도안정도가 나쁘다.
답 ④
15. 직접 접지방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?
① 통신선에서의 유도장해 경감
② 기기절연의 수준 경감
③ 단절연 변압기 사용가능
④ 보호계전기의 동작 확실
직접접지
-지락사고시, 전압상승X
지락전류는 최대 =통신선유도장해가 가장크다
-절연레벌을 낮출수 있다.
→‘초고압송전’ 사용
- 계전기 동작이 활식
- 과도안정도가 나쁘다.
답 ①
16. 직접접지방식이 초고압 송전선에 채용되는 이유 중 가장 적당한 것은?
① 지락고장 시 병행 통신선에 유도전압이 적기 때문
② 지락시 지락전류가 적으므로
③ 계통의 절연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
④ 송전선의 안정도가 높으므로
답 ③
17. 직접 접지 송전 방식과 어긋나는 사항은?
① 1선 지락 시 지락전류는 타접지 방식에 비하여 크다.
② 1선 지락 시 지락계전기의 동작이 확실하다.
③ 통신선에서의 유도 장해는 비접지 방식에 비하여 크다.
④ 기기의 절연 레벨을 높여야 한다.
답 ④
18. 유효접지는 1선 접지 시 건전상의 전압이 대지 전압의 몇 배를 넘지 않도록 하는 중성점 접지를 말하는가?
① 0.8 ② 1.3 ③ 3 ④ 4
-전위상승이 1.3배를 넘지 않도록 접지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방식을 유효접지방식이라 한다.
답 ②
19. 송전선로에 있어서 1선 지락의 경우 지락전류가 가장 작은 중성점 접지방식은?
① 비접지 ② 고저항 접지 ③ 직접 접지 ④ 소호리액터 접지
지락전류가 적은 순서
소호리액터<비접지<고저항접지<직접접지
답 ④
20. 다음 중성점 접지방식 중 단선 고장일 때 선로의 전압 상승이 최대이고, 또한 통신장해가 최소인 것은?
① 비접지 ② 저항 접지 ③ 직접 접지 ④ 소호리액터 접지
소호리액터접지
- 고장발생 중에도 전력공급이 가능 (과도안정도가 좋다)
- 이므로 유도장해 작음
- 접지 장치의 가격이 비싸다
- 고장검출이 어려우므로 보호 장치의 동작이 불확실
- 단선 사고시 직렬공진에 의한 이상전압이 최대로 발생
답 ④
21. 3상 1회선 송전선로의 소호리액터의 용량은?
① 선로 충전용량과 같다.
② 3선 일괄의 대지 충전용량과 같다.
③ 선간 충전용량의 1/2이다.
④ 1선과 중성점 사의 충전용량과 같다.
답 ②
22. 송전 계통의 중성점 접지용 소호리액터의 인덕턴스 L은? 단, 선로 한 선의 대지 정전용량을 C라 한다.
답 ④
23. 3상 3선식 소호리액터 접지방식에서 1선의 대지정전용량을 C[μF], 상전압 E[kV], 주파수 f[Hz]라 하면, 소호 리액터 용량은 몇 [kVA]인가?
답 ④
24. 1상의 대지 정전용량 0.5[μF], 주파수 60[Hz]인 3상 송전선이 있다. 이 선로에 소호리액터를 설치하려 한다. 소호 리액터의 공진 리액턴스[Ω]값은?
① 약 565 ② 약 1370 ③ 약 1770 ④ 약 3570
답 ③
25. 소호리액터 접지 계통에서 리액터의 탭을 완전 공진 상태에서 약간 벗어나도록 하는 이유는?
① 전력손실을 줄이기 위해서
② 선로의 리액턴스 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
③ 접지 계전기의 동작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
④ 직렬공진에 의한 이상전압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
일반적으로 합조도 과보상 (+)
: 직렬공진 방지하여 이상전압 방지
답 ④
26. 소호리액터의 탭이 공진점을 벗어나고 있는 정도를 합조도라 한다. 합조도가 정(+)이 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은?
답 ②
27. 1상의 대지정전용량 C[F], 주파수 f[Hz]인 3상 송전선의 소호 리액터 공진탭의 리액턴스는 몇 [Ω]인가?
단, 소호리액터를 접속시키는 변압기의 리액턴스는 Xt[Ω]이다.
답 ②
28. 전력선 a의 충전전압 E, 통신선 b의 대지 정전용량 Cb, a-b사이의 상호 정전용량을 Cab라고 하면 통신선 b의 정전 유도 전압 Es는?
답 ④
29. 전력선에 의한 통신선로의 전자 유도 장해의 발생 요인은 주로 무엇 때문인가?
① 영상전류가 흘러서
② 부하전류가 크므로
③ 전력선의 교차가 불충분하여
④ 상호 정전용량이 크므로
전자유도장해 : 송전선에 1선 지락사고 등이 발생하여 영상전류가 흘러 통신기기나 인명에 손상을 끼치는 유도장해
답 ①
30. 3상 송전선로와 통신선이 병행되어 있는 경우 통신 유도장해로서 통신선에 유도되는 정전유도 전압은?
① 통신선의 길이에 비례한다.
② 통신선의 길이의 자승에 비례한다.
③ 통신선의 길이에 반비례한다.
④ 통신선의 길이와 관계가 없다.
답 ④
31. 통신선과 평행인 주파수 60[Hz]의 3상 1회선 송전선이 있다. 1선 지락 때문에 영상전류가 100[A]흐르고 있다. 통신선에 유도되는 전자유도 전압은 몇 [V]인가? 단, 여기서 영상전류는 전선에 걸쳐서 같으며, 송전선과 통신선과의 상호 인덕턴스는 0.06[mH/km], 그 평행 길이는 40[km]이다.
① 156.6 ② 162.8 ③ 230.2 ④ 271.3
답 ④
32. 전력선과 통신선사이에 그림과 같이 차폐선을 설치하며, 각 선사이의 상호임피던스를 각각 Z12, Z1s, Z2s라 하고 차폐선 자기임피던스를 Zs라 할 때 저감계수를
나타낸 식은 ?
답 ①
33. 유도장해의 방지책으로 차폐선을 이용하면 유도전압을 몇[%] 정도 줄일 수 있는가?
① 30~50 ② 60~70 ③ 80~90 ④ 90~100
답 ①
34. 통신선에 대한 유도 장해의 방지법으로 가장 적당하지 않는 것은?
① 전력선과 통신선의 교차부분을 비스듬히 한다.
② 소호리액터 접지 방법을 채용한다.
③ 통신선에 배류 코일을 채용한다.
④ 통신선에 절연 변압기를 채용한다.
· 통신선측 방지대책 (경제성 높은 순)
- 절연변압기를 설치하여 구간을 분할한다.
- 연피케이블 사용
- 통신선에 성능이 우수한 피뢰기 설치
- 배류코일을 설치
- 전력선과 교차시 수직교차 한다.
답 ①
35. 송전선이 통신선에 미치는 유도 장해를 억제 제거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?
① 송전선에 충분한 연가를 실시한다.
② 중성점 접지개소를 택하여 중성점을 리액터 접지한다.
③ 송전선과 통신선의 상호 접근 거리를 크게한다.
④ 송전선 측에 특성이 양호한 피뢰기를 설치한다.
· 전력선측 방지대책 (경제성 높은 순)
- 송전선을 가능한한 통신선과 멀리 건설한다.
- 중성점 접지시 접지저항을 크게 한다.
- 고속도 지락보호 계전 방식을 채용한다.
- 차폐선 설치
- 지중전선로 방식을 채용한다.
답 ④-통신선측 방지대책에 해당
36. 전력계통의 안정도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?
① 상태 안정도 ② 정태 안정도 ③ 과도 안정도 ④ 동태 안정도
정태 안정도 : 정상적인 운전상태 하에서의 안정도
과도 안정도 : 부하의 급변이나 사고등과 같은 고정상태 하에서의 안정도
동태 안정도 : 전압이 변하고 있을 때의 안정도
답 ①
37. 송전선로의 안정도 향상대책과 관계없는 것은?
① 속응 여자 방식 채용
② 재폐로 방식의 채용
③ 역률의 신속한 조정
④ 리액턴스 조정
답 ③
38. 차단기의 고속도 재폐로의 목적은?
① 고장의 신속한 제거 ② 안정도 향상 ③ 기기의 보호 ④ 고장전류의 억제
답 ②
39. 송전 계통에서의 안정도 증진과 관계없는 것은?
① 리액턴스 감소
② 재폐로 방식의 채용
③ 속응여자 방식의 채용
④ 차폐선의 채용
답 ④
40. 전력계통의 안정도 향상대책으로 직렬 리액턴스를 작게 하기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?
① 발전기의 리액턴스를 작게 한다.
② 변압기의 리액턴스를 작게 한다.
③ 복도체를 사용한다.
④ 계통을 연계한다.
답 ④
'전기(공사)기사 출제문제 > 전력공학 출제문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7. 변전소 출제문제 (0) | 2021.03.18 |
---|---|
CH6. 이상전압 및 보호계전방식 출제문제 (0) | 2021.03.09 |
CH4. 고장계산 출제문제 (0) | 2021.02.20 |
CH3 송전특성 및 조상설비 출제문제 (0) | 2021.02.18 |
CH2 선로정수 및 고로나 출제문제 (0) | 2021.02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