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H7 제어계의 안정도 출제문제
본문 바로가기

전기(공사)기사 출제문제/제어공학 출제문제

CH7 제어계의 안정도 출제문제

CH7 안정도 출제문제 배포.hwp



2. 특성방정식 인 경우, 양의 실수부를 갖는 근은 몇 개인가?


0      1      2     3




3. 그림과 같은 벡터궤적을 갖는 계의 주파수 전달함수는?





4. 다음 중 Routh 안정도 판별법에서 그림과 같은 제어계가 안정되기 위한 K의 값으로 적합한 것은 ?

1      3      5      7

 

 



5. 다음 특성방정식 중에서 안정된 시스템인 것은?










8. Nyquist의 안정론에서는 벡터 궤적과 점(X,Y)의 상대적 관계로 안정 판별이 결정되는데 이 때 X,Y의 값 으로 옳은 것은 ?

 

(1, j0)      (-1, j0)      (0, j0)      (, j0)

 

 



9. 보드 선도의 이득 교차점에서 위상각 선도가 -180° 축의 상부에 있을 때 이 계의 안정 여부는?

 

불안정하다.      판정 불능이다.    임계 안정이다.     안정하다.




10. Nyquist 판정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?

 

Nyquist 선도는 제어계의 오차 응답에 관한 정보를 준다.

계의 안정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시해준다.

안정성을 판정하는 동시에 안정도를 제시해 준다.

Routh-Hurwitz 판정법과 같이 계의 안정여부를 직접 판정해 준다.

 

 



-20[dB] -10[dB] 1[dB] 10[dB]

 



 



13. 0에서 까지 변화하였을 때 G(j)의 크기와 위상각을 극좌표에 그린 것으로 이 궤적을 표시하는 선도는 ?

 

근궤적도     나이퀴스트선도    니콜스선도     보드선도



14. s평면의 우반면에 3개의 극점이 있고, 2개의 영점이 있다. 이때 다음과 같은 설명 중 어느 나이퀴스트선도일 때 시스템이 안정한가 ?

 

(-1, j0) 점을 반 시계방향으로 1번 감쌌다.

(-1, j0) 점을 시계방향으로 1번 감쌌다.

(-1, j0) 점을 반 시계방향으로 5번 감쌌다.

(-1, j0) 점을 시계방향으로 5번 감쌌다. 

 


15. 보드 선도에서 이득 여유는 어떻게 구하는가 ?


크기 선도에서 0~20[dB]사이에 있는 크기 선도의길이이다.

위상 선도가 축과 교차되는 점에 대응되는 [dB]값의 크기이다.

위상선도가 -180° 축과 교차되는 점에 대응되는 이득의 크기 [dB]값이다.

크기 선도에서 -20~20[dB]사이에 있는 크기[dB]값이다. 

 



16. 특성 방정식이인 경우 불안정한 근의 수는?


0      1      ③ 2      3

 

 






18. 나이퀴스트 선도에서의 임계점 (-1, j0)는 보드선도에서 대응하는 이득[dB]과 위상은 ?

 

 1, 0°      0, -90°     ③ 0, 180°     ④ 0, 90°






안정하다. 불안정하다. 암계상태이다. 알 수 없다.

 

 



21.Routh 안정도 판별법에 의한 방법 중 불안정한 제어계의 특성 방정식은?









-40[dB]     -20[dB]      0[dB]     20[dB]

 

 




0     1      2      3

 

 



 


 

 



27. Nyquist 선도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 중 틀린 것은?

 

계통의 안정도 개선법을 알 수 있다.

상태 안정도를 알 수 있다.

정상 오차를 알 수 있다.

절대 안정도를 알 수 있다.

 

 


28. 다음과 같은 궤환 제어계가 안정하기 위한 K의 범위는?



K >0      K >1     ③ 0 < K < 1       0< K <2

 

답 



29. Routh 안정도 판별법에 의한 방법 중 불안정한 제어계의 특성 방정식은?

 


:



30.이득이 K인 시스템의 근궤적을 그리고자 한다. 다음 중 잘못 된 것은?


근궤적의 가지수는 극(pole)의 수와 같다

근궤적은 K=0일 때 극에서 출발하고 K=일 때 영점에 도착한다.

실수축에서 이득 K가 최대가 되게 하는 점이 이탈점이 될 수 있다.

근궤적은 실수축에 대칭이다.

 

 

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