답 ②
2. 특성방정식 인 경우, 양의 실수부를 갖는 근은 몇 개인가?
① 0 ② 1 ③ 2 ④ 3
답 ③
3. 그림과 같은 벡터궤적을 갖는 계의 주파수 전달함수는?
답 ④
4. 다음 중 Routh 안정도 판별법에서 그림과 같은 제어계가 안정되기 위한 K의 값으로 적합한 것은 ?
① 1 ② 3 ③ 5 ④ 7
답 ①
5. 다음 특성방정식 중에서 안정된 시스템인 것은?
답 ②
답 ③
답 ④
8. Nyquist의 안정론에서는 벡터 궤적과 점(X,Y)의 상대적 관계로 안정 판별이 결정되는데 이 때 X,Y의 값 으로 옳은 것은 ?
① (1, j0) ② (-1, j0) ③ (0, j0) ④ (∞, j0)
답 ②
9. 보드 선도의 이득 교차점에서 위상각 선도가 -180° 축의 상부에 있을 때 이 계의 안정 여부는?
① 불안정하다. ② 판정 불능이다. ③ 임계 안정이다. ④ 안정하다.
답 ④
10. Nyquist 판정법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?
① Nyquist 선도는 제어계의 오차 응답에 관한 정보를 준다.
② 계의 안정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시해준다.
③ 안정성을 판정하는 동시에 안정도를 제시해 준다.
④ Routh-Hurwitz 판정법과 같이 계의 안정여부를 직접 판정해 준다.
답 ①
① -20[dB] ② -10[dB] ③ 1[dB] ④ 10[dB]
답 ①
답 ②
13. ⍵가 0에서 ∞까지 변화하였을 때 G(j⍵)의 크기와 위상각을 극좌표에 그린 것으로 이 궤적을 표시하는 선도는 ?
① 근궤적도 ② 나이퀴스트선도 ③ 니콜스선도 ④ 보드선도
답 ②
14. s평면의 우반면에 3개의 극점이 있고, 2개의 영점이 있다. 이때 다음과 같은 설명 중 어느 나이퀴스트선도일 때 시스템이 안정한가 ?
① (-1, j0) 점을 반 시계방향으로 1번 감쌌다.
② (-1, j0) 점을 시계방향으로 1번 감쌌다.
③ (-1, j0) 점을 반 시계방향으로 5번 감쌌다.
④ (-1, j0) 점을 시계방향으로 5번 감쌌다.
답 ①
15. 보드 선도에서 이득 여유는 어떻게 구하는가 ?
① 크기 선도에서 0~20[dB]사이에 있는 크기 선도의길이이다.
② 위상 선도가 0° 축과 교차되는 점에 대응되는 [dB]값의 크기이다.
③ 위상선도가 -180° 축과 교차되는 점에 대응되는 이득의 크기 [dB]값이다.
④ 크기 선도에서 -20~20[dB]사이에 있는 크기[dB]값이다.
답 ③
16. 특성 방정식이인 경우 불안정한 근의 수는?
① 0 ② 1 ③ 2 ④ 3
답 ③
답 ②
18. 나이퀴스트 선도에서의 임계점 (-1, j0)는 보드선도에서 대응하는 이득[dB]과 위상은 ?
① 1, 0° ② 0, -90° ③ 0, 180° ④ 0, 90°
답 ③
답 ㉰
① 안정하다. ② 불안정하다. ③ 암계상태이다. ④ 알 수 없다.
답 ①
21.Routh 안정도 판별법에 의한 방법 중 불안정한 제어계의 특성 방정식은?
답 ④
답 ①
답 ④
① -40[dB] ② -20[dB] ③ 0[dB] ④ 20[dB]
답 ③
① 0 ② 1 ③ 2 ④ 3
답 ③
답 ④
27. Nyquist 선도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 중 틀린 것은?
① 계통의 안정도 개선법을 알 수 있다.
② 상태 안정도를 알 수 있다.
③ 정상 오차를 알 수 있다.
④ 절대 안정도를 알 수 있다.
답 ③
28. 다음과 같은 궤환 제어계가 안정하기 위한 K의 범위는?
① K >0 ② K >1 ③ 0 < K < 1 ④ 0< K <2
답 ④
29. Routh 안정도 판별법에 의한 방법 중 불안정한 제어계의 특성 방정식은?
답 : ④
30.이득이 K인 시스템의 근궤적을 그리고자 한다. 다음 중 잘못 된 것은?
① 근궤적의 가지수는 극(pole)의 수와 같다
② 근궤적은 K=0일 때 극에서 출발하고 K=ᨖ일 때 영점에 도착한다.
③ 실수축에서 이득 K가 최대가 되게 하는 점이 이탈점이 될 수 있다.
④ 근궤적은 실수축에 대칭이다.
답 : ①
'전기(공사)기사 출제문제 > 제어공학 출제문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9. 상태공간법 및 Z변환 출제문제 (0) | 2021.01.30 |
---|---|
CH8. 근궤적 문제 (0) | 2021.01.29 |
CH6 자동제어계 주파수 영역의 해석 문제 (0) | 2020.02.18 |
CH5. 자동제어계의 시간영역 해석 문제 (0) | 2020.02.17 |
CH4.블로선도와 신호흐름선도 문제 (0) | 2020.02.14 |